All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부드러운 교란 – 백남준을 말하다
기간/ 2013.01.29(화) ~ 2013.06.30(일)
장소/ 백남준아트센터 1층
2013년 상설전
부드러운 교란 – 백남준을 말하다

1960-70년대 유럽과 미국에서는 신구 세대 간의 갈등이 극에 달하며 기존의 사회질서에 반대하는 운동이 끊임없이 일어났다. 이러한 움직임은 문화예술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백남준을 비롯한 일련의 아티스트들은 대다수의 관객과 공유할 수 있는 매체인 비디오를 사용하여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비디오는 부조리한 세상에 도전하는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부드러운 교란 – 백남준을 말하다>전은 백남준의 작품 중에서 가장 정치적이라고 평가 받는 비디오 작품<과달카날 레퀴엠>에서 출발했다. 제 2차 세계대전의 격전지였던 솔로몬 군도의 과달카날 섬을 소재로 한 이 작품에서 백남준은 전쟁의 파괴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사회적 금기에 대한 저항을 담아냈다. <과달카날 레퀴엠>은 1977년 뉴욕의 카네기홀에서 <감옥에서 정글로>라는 공연의 일부로 처음 상영되었는데 여기에서 감옥은 샬롯 무어먼이 1967년 옷을 벗은 채 첼로를 연주했던 작품 <오페라 섹스트로니크>을 의미한다. 백남준은 음악 분야에서 금기시되던 성(性)을 전면에 내세워 클래식 음악이 성스러워야 한다는 통념에 저항한 것이다.

<과달카날 레퀴엠>을 통해 전쟁에 대한 기억과 트라우마가 승자와 패자 모두에게 상처임을 환기시키면서 백남준은 시공간을 넘나드는 비디오 작업으로 부드러운 교란을 도모한다. 본 전시에서는 백남준의 부드러운 교란을 보여주는 <과달카날 레퀴엠>, <오페라 섹스트로니크>와 함께 백남준에게 정치적인 예술이란 무엇인지, 사회 참여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과 자료들이 소개 된다.

주요작품

I. 두 스승 : 마르크스와 쇤베르크

백남준의 급진적인 태도는 어린 시절 정식적 스승이었던 칼 마르크스와 아놀드 쇤베르크를 통해 형성되었다.

1. 장 폴 파르지에, <백남준, 다시 재생하기>, 1990, 비디오, 29분, 컬러, 사운드

백남준의 예술 행로를 추적하는 다큐멘터리로 한국, 독일, 미국 등 백남준이 거주했거나 예술 활동을 펼쳤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촬영되었다. 백남준의 서울 창신동 집터, 1920년대에 백남준의 아버지가 운영하던 상점과 공장을 촬영한 필름을 보면서 백남준이 설명하는 장면, 백남준 자신이 작곡한 곡을 연주하는 장면 등이 삽입되어 있다.

2. 백남준, <뮤직박스(1954년 동경 작곡)>, 1994, 서정기 컬렉션

백남준, <뮤직박스(1954년 동경 작곡)>, 1994, 서정기 컬렉션 이미지

이 작품은 백남준이 동경으로 건너가 작곡했던 1954년 곡을 1994년 스위스 오르골 제작회사인 루즈(Reuge)사에서 144개의 음표로 구성된 오르골로 제작한다. 백남준은 제작된 오르골을 앤틱 텔레비전의 왼쪽 측면에 설치하여 오르골의 태엽을 직접 감아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텔레비전 케이스 안에 폐쇄회로 카메라가 오르골을 촬영하여 모니터를 통해 오르골이 돌아가는 모습을 보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작품이다.

II. 음악과 성

성을 주제로 한 백남준의 작곡과 퍼포먼스는 기존의 사회 질서와 기성 예술계에 충격을 가하기 위한 행위였다.

2. 만프레드 몬트베,<‘아름다운 여성 화가의 연대기’를 위한 앨리슨 놀즈의 국기>, <<음악의 전시: 전자 텔레비전>> 전시장면, 1963, 사진, 40x30cm

만프레드 몬트베,<'아름다운 여성 화가의 연대기'를 위한 앨리슨 놀즈의 국기>, <<음악의 전시: 전자 텔레비전>> 전시장면, 1963, 사진, 40x30cm 이미지

플럭서스의 구성원으로 함께 활동하던 앨리슨 놀즈를 위해 작곡한 작품으로 세계 각국의 국기를 생리혈로 물들여 갤러리에서 전시하라는 문장들로 이루어져 있다. 앨리슨 놀즈는 1963년 백남준의 첫 번째 개인전 <<음악의 전시: 전자 텔레비전에서 이 스코어에 따라 국기에 생리혈을 묻힌 오브제를 전시하였다.

III. 감옥에서 정글로, 1967-1977

감옥은 <오페라 섹스트로니크>로 무어만이 경찰에 체포된 사건을, 정글은 제 2차 세계대전의 격전지 였던 과달카날섬의 정글에서 촬영된 <과달카날 레퀴엠>을 의미한다.

1. 저드 얄커트, <오페라 섹스트로니크>, 1967, 비디오, 5분 10초, 컬러&흑백, 무성,편집본

저드 얄커트, <오페라 섹스트로니크>, 1967, 비디오, 5분 10초, 컬러&흑백, 무성,편집본 이미지

저드 얄커트가 촬영한 <오페라 섹스트로니크>는 샬럿 무어먼이 공연 도중 체포되었던 직후 법원에 제출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백남준은 <오페라 섹스트로니크>를 총 4막으로 구성하였는데, 1막에서 연주자는 전구로 만든 비키니를 입은 채 연주하도록 되어 있다. 2막과 3막에서는 첼로를 연주하고, 가면을 썼다가 벗고, 꽃다발과 활을 이용하여 퍼포먼스를 펼치면서 옷을 하나씩 벗는다. 마지막 4막에서는 연주자가 전라인 채로 첼로가 아닌 폭탄을 연주하도록 되어 있다.

2. 백남준, 샬롯 무어먼, <과달카날 레퀴엠>, 1977, 비디오, 59분, 컬러, 사운드

백남준, 샬롯 무어먼, <과달카날 레퀴엠>, 1977, 비디오, 59분, 컬러, 사운드 이미지

1976년 록펠러재단의 지원금을 받아 뉴욕 WNET TV의 상주 작가로 지내면서 제작한 작품이다. 이 작업에서 무어먼은 해변에서 군복을 입고 총 대신 첼로를 등에 맨 채 포복하고, 치유를 의미하는 요셉 보이스의 펠트천으로 감싼 첼로로 백남준의 <평화 소나타>를 연주하였다. 백남준은 무어먼의 퍼포먼스, 참전자들의 인터뷰, 전쟁 다큐멘터리 장면들을 교차 편집하고 이미지들을 겹치거나 색상을 변조하는 등의 조작을 통하여 이 작품을 완성하였다.

IV. 부드러운 균열 : 제도의 안과 밖

1. 백남준, , 1972/91, 비디오 설치, 230x200x150cm, 개인소장

백남준, , 1972/91, 비디오 설치, 230x200x150cm, 개인소장 이미지

뉴욕의 더 키친에서 《비디오 페스티벌: 라이브 비디오》의 일환으로 샬롯 무어먼과 를 초연하였다. 1960년 초반 암 수술을 받은 무어먼은 건강이 악화된 상태였다. 몸이 성하지 않은 무어먼을 위해 백남준은 그녀가 누워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를 제작하였다. 무어먼은 백남준의 살아있는 오브제이자, 백남준의 예술에 대한 옹호자로서 그가 제도권으로 진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백남준전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