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TV는 TV다
기간/ 2015.01.29(목) ~ 2015.06.21(일)
장소/ 백남준아트센터 1층

백남준아트센터에서는 2015년 1월 29일부터 6월 21일까지 백남준전 《TV는 TV다》를 개최한다. 백남준은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맥클루언의 문장을 패러디하여 “미디어는 미디어다”라는 작품을 만든 바 있다. 맥클루언은 미디어 자체가 의미전달에 미치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말하려고 하였으나, 백남준은 의미전달뿐만 아니라 미디어가 환경 그 자체가 되어 삶의 조건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점을 강조하려 하였다. 이번 백남준전 《TV는 TV다》는 백남준의 주요 매체였던 텔레비전이 환경이 된 상황을 그의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보여주기 위해 기획되었다. 백남준 식 아날로그 영상 편집을 가능하게 했던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와 다양한 TV 조각들, 폐쇄회로 카메라를 이용한 설치들, 그리고 백남준이 텔레비전 방송용으로 만든 영상들이 전시된다.

백남준은 텔레비전을 예술의 매체로 활용하기 위해, 텔레비전에서 새로운 가능성들을 이끌어냈다. 그에게 텔레비전은 단순한 정보의 수신장치를 넘어, 감각적 실험의 도구, 실시간 개입의 통로, 로봇과 악기를 만들기 위한 재료, 수많은 사람들에게 동시에 다가가는 방송 환경이었다. 이번 백남준전 《TV는 TV다》에서는 백남준의 다채로운 TV 사용법을 한 눈에 비교해 볼 수 있도록, 백남준아트센터의 다양한 소장품을 중심으로 TV의 속성을 크게 ‘실험’, ‘라이브와 재생’, ‘신체’, ‘방송’의 4가지로 구분하였다.

I. 실험(TV as Experiment)
백남준은 실험 TV 시리즈를 통해 자석이나 전류, 음향신호 등을 이용하여 화면을 변형하며 다채롭고 역동적인 컬러 패턴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백남준이 실험 TV 시리즈에서 찾아낸 화면변형의 기본적인 방식은 그가 일본의 엔지니어 슈야 아베와 함께 개발한 아날로그 합성장치인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백남준 특유의 캔디 컬러와 빠르게 전환되는 화면의 제작 원리를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실험 TV들과 더불어 2011년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슈야 아베와 함께 그 기능을 복원한 비디오 신디사이저 및 원래의 신디사이저를 이용해 만든 영상들을 전시한다.

II. 라이브와 재생(TV as Live & Play)
백남준은 “편협하거나 획일적이지 않은” TV를 만드는 것을 꿈꾸었는데, 폐쇄회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객이 참여할 수 있고, 영상의 내용을 변형할 수 있는 작품들도 그 일환이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백남준의 대표적인 시리즈 중 하나로 종교적인 구도자가 대중매체의 화면을 응시하는 <TV 부처>, 시간의 흐름을 공간 속에 복제하여 복합적인 의미를 만들어내는 <스위스 시계>와 같은 폐쇄회로 카메라를 이용한 작품들이 전시된다.

III. 신체(TV as Body)
백남준에게 텔레비전은 그 자체로 신체의 기관 일부를 구성하는 요소가 되거나, 사람의 신체처럼 환경에 반응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백남준은 텔레비전 모니터를 이용하여 로봇이나 악기를 만들기도 하고, 또 그 악기가 내는 소리를 시각화하여 다시 화면에 나타나게 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TV가 마치 인간의 몸처럼 기능하는 물리적, 전자적 시스템을 만들었다. 백남준전 <TV는 TV다>에는 백남준이 평생의 협업자였던 첼리스트 샬럿 무어먼을 염두에 두고 만든 대표작 <TV 첼로v, 그리고 앤틱 TV 모니터와 라디오를 이용해서 만든 아트센터의 대표적인 소장품 <슈베르트>, <밥 호프>, <찰리 채플린> 등이 전시 된다.

V. 방송(TV as Broadcasting)
어린 시절 다락방에서 서양의 영화잡지들을 뒤적이며 낯선 문화를 접하는 희열을 느꼈던 백남준은 다양한 문화를 먼 곳까지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TV 전파의 힘에 주목했다. 무엇보다 “편협하거나 획일적이지 않은” 방송이 필요하다고 느낀 백남준은 실험적이고 새로운 예술을 안방까지 전달하기 위해 여러 방송국과 협력하여 방송용 비디오 아트를 제작하였다. 백남준의 이 방송 작품들은 4시간 동안 비틀즈의 음악과 함께 신디사이저 합성 영상을 내보내는 <비디오 코뮨>부터 전 세계 수천만 명이 시청한 위성 오페라 삼부작에 이르기까지 흥미진진한 채널들로 이루어져 있다.

참여작가

백남준, 데이빗 앳우드, 만프레드 몬트베, 요셉 보이스, 이라 슈나이더, 저드 얄커트, 피터 무어

오프닝

2015년 1월 29일 목요일 오후 5시

관람시간

평일/일요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토요일 오전 10시 ~ 오후 6시(2월까지), 오전 10시 ~ 오후 7시(3월부터)
두 번째/네 번째 월요일 휴관
(3월부터 평일, 일요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토요일 오전 10시 – 오후 7시)

주요 작품 소개
1. 백남준, 실험 TV 시리즈
<참여 TV>, 1963/1998, 장치된 TV, 마이크, 앰프, 가변크기
<닉슨 TV>, 1965/2002, 장치된 TV, 코일, 앰프, 스위처, 가변크기
<왕관 TV>, 1965/1999, 장치된 TV, 오디오 신호발생기, 앰프, 냉각기, 가변크기

백남준은 TV 회로를 조작해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거나 기존 이미지를 변형하는 작품들을 만들었는데, 이런 시도는 그의 첫 개인전인 1963년 《음악의 전시: 전자 텔레비전》에서 선보인 13대의 실험 TV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그 중 <참여 TV>는 관객이 텔레비전에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서 소리를 내면 오디오 신호가 비디오 신호로 바뀌어 화면에 춤추는 듯한 형태인 “댄싱 패턴”이 나타나는 작품이다. 또한 <왕관 TV>에서는 오디오 신호발생기와 증폭기에 연결된 TV 화면에 끊임없이 움직이는 왕관의 형태가 만들어지고, <닉슨 TV>에서는 흑백 TV 화면 앞에 구리 코일을 설치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면 미국의 정치인 리처드 닉슨의 얼굴이 일그러진다. 이렇게 오디오 신호와 자기력을 이용하여 TV 이미지를 조작하는 기술은 이후 비디오 신디사이저에도 쓰이게 되며, 색과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은 백남준의 비디오 영상에 자주 등장하는 기본 조형 원리가 된다.

백남준, 실험 TV 시리즈 ⓒNam June Paik Estate 이미지
백남준, 실험 TV 시리즈 ⓒNam June Paik Estate
2. 백남준, 슈야 아베,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1969/1972
영상합성장치, 156x208x150cm

백남준은 1969년 일본의 공학자 슈야 아베와 함께 아날로그 TV 영상을 자유자재로 편집할 수 있는 기계인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를 개발했다. 비디오 신디사이저는 여러 경로의 입력과 출력을 지원하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영상의 색과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합성 장치를 갖고 있어 이미지의 무한한 조합이 가능하다. 이미 편집된 영상 소스, 카메라에 찍힌 영상 등을 입력하면 오디오 신호나 자기력을 이용하여 패턴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TV 회로의 축을 바꾸거나 모니터에 출력된 이미지를 카메라로 촬영하는 비디오 피드백을 통해 재합성하는 복합 피드백도 가능하다.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는 1972년까지 세 대가 제작되었으나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아, 백남준아트센터는 2011년 슈야 아베와 협력하여 ‘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복원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신디사이저의 기능을 복원하였다.

백남준_슈야 아베_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_1969(1972) 이미지
백남준, 슈야 아베,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1969/1972
ⓒNam June Paik Estate
3. 백남준, <달은 가장 오래된 TV>, 1965/2000
13채널 비디오 설치, TV, 컬러, 유성, 가변크기

처음에는 흑백 아날로그 텔레비전에 자석을 설치하여 자석과 CRT 모니터와의 거리를 조절해서 달 모양을 만들었으나 이후에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달의 위상이 변하는 모양을 만들었다.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소장하고 있는 버전은 2000년에 새로 제작된 것으로 12대의 모니터가 보름달에서부터 그믐달이 되었다 다시 커지는 단계까지 12장면을 보여주고, 마지막 13번째 모니터에서는 1997년 새로 만들어서 추가한 이라는 영상이 나오는 버전이다. 영상에서는 보름달 주변에 새가 날아다니고 음악이 흘러 나온다. 베토벤의 <월광소나타>와 함께 명상을 유도하는 듯한 백남준의 목소리와 금속성 물체를 두드리는 소리가 난다.

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달의 밝고 어두운 부분에서 사람의 얼굴이나 어떤 모양을 읽어냈다. 빛에서 모양을 보고 이야기를 읽어내고 희로애락을 느끼는 것은 텔레비전에서도 마찬가지다. 백남준은 1982년 회고전 당시 한국인은 달을 보고 토끼가 떡방아를 찧고 있다고 생각하고, 이런 이미지를 읽어내는 것은 한국과 중앙아시아 밖에 없어서 이 작품을 구상하게 되었다고 말한 바 있다.

백남준_달은 가장 오래된 TV_1965(2000) 이미지
백남준, <달은 가장 오래된 TV>, 1965/2000 ⓒNam June Paik Estate
4. 백남준, <TV 부처>, 1974/2002
비디오 설치, 부처조각상, TV, 폐쇄회로 카메라, 컬러, 무성, 가변크기

백남준은 불상이 TV를 보고 있는 라는 제목의 작품을 여러 가지 버전으로 만들었는데, 백남준아트센터의 는 부처가 폐쇄회로 카메라에 실시간으로 찍힌 자신의 모습을 TV 화면 속에서 보고 있는 설치 작품이다. 종교적인 구도자이자 동양적 지혜의 상징인 부처가 현대문명의 상징이자 대중매체인 TV를 본다는 점, 혹은 화면 속 자신에 빠져든 나르시스적인 태도로 인해서 웃음을 자아내기도 하지만, 화면 속의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며 성찰한다는 진지한 주제를 던지기도 한다. 1974년 쾰른 미술관에서 진행된 퍼포먼스에서는 백남준이 직접 법의를 걸치고 TV 앞에 앉기도 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관객이 부처가 바라보는 TV 화면을 보기 위해 고개를 내밀었을 때 화면 속에 등장하게 된다는 점이다. 즉 는 백남준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관객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닫혀 있지 않은 전자 환경”을 만드는 작품이다.

백남준_TV 부처_1974(2002) 이미지
백남준, <TV 부처>, 1974/2002 ⓒNam June Paik Estate
5. 백남준, <밥 호프>, 2001
1채널 비디오 조각, 앤틱 TV, 라디오, 컬러, 무성, 116x141x33cm

백남준이 실존 인물을 소재로 만든 로봇 시리즈 중의 한 작품으로, 밥 호프는 코미디언이자 배우, 가수, 댄서, 작가로 큰 인기를 누리면서 한 때 미국 방송 문화를 상징하던 인물이다. 1984년 한 방송프로그램에서 밥 호프는 비디오 아트와 백남준에 대해 갑작스러운 질문을 받았을 때, 비디오 아트가 무엇인지, 백남준이 누구인지도 모르지만 실험적인 예술가들에 의해 전개될 미래의 텔레비전에 대한 기대를 표현하며 그 미래의 일부가 되고 싶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화답하듯 백남준은 앤틱 TV와 라디오를 이용해 밥 호프의 몸을 만들었고, 총 5대의 모니터에서는 밥 호프의 모습을 그래픽으로 합성한 컬러 영상이 나온다.

백남준_밥 호프_2001 이미지
백남준, <밥 호프>, 2001, ⓒNam June Paik Estate
6. 백남준, <찰리 채플린>, 2001
1채널 비디오 조각, 앤틱 TV, 라디오, 전구, 컬러, 무성, 152x185x56cm

백남준이 실존 인물을 소재로 만든 로봇 시리즈 중의 한 작품으로, 희극배우이자 영화감독인 찰리 채플린을 형상화한 것이다. 빈티지 모니터, 구형 텔레비전과 라디오로 몸체가 이루어졌으며 구형 전구가 양 손의 역할을 한다. 다섯 대의 모니터에서는 합성된 채플린의 영화 속 장면들이 등장한다. 백남준은 자신에게 예술적 자극을 주었거나 대중예술의 창조적 가능성을 보여준 인물들에 대한 존경을 담아 로봇 연작으로 만들었는데, 이 로봇 역시 희극적 요소로 인해 대중에게 큰 사랑을 받으면서도 날카로운 사회비판적 메시지를 담은 채플린의 영화에 대한 오마주라고 할 수 있다.

백남준_찰리 채플린_2001 이미지
백남준, <찰리 채플린>, 2001, ⓒNam June Paik Estate
7. 백남준, <슈베르트>, 2001
1채널 비디오 조각, 라디오, 소형 모니터, 축음기 스피커, 컬러, 무성, 108x183x61cm

여러 모양의 앤틱 진공관 라디오 아홉 대로 슈베르트를 표현했다. 빨간 축음기 스피커를 고깔처럼 쓰고 있으며 라디오를 구성하는 부분들의 문양, 즉 스피커의 촘촘한 가로세로 선, 문자반의 원형 다이얼과 주파수 숫자, 그리고 함께 달려 있는 시계의 시각적 요소들이 전체적 구도에 기여한다. 이 중 세 대의 라디오 안에는 소형 모니터를 넣어 영상을 보여주는데, 한 대는 정상적인 각도로, 다른 한 대는 위 아래를 뒤집어서, 그리고 마지막 한 대는 스피커 뒷면에 넣어 같은 영상이 각기 다른 이미지로 보이도록 했다. 영상에서는 샬롯 무어먼이 백남준의 신체를 첼로 삼아 연주하는 모습과 과달카날 섬에서 벌이는 퍼포먼스, 백남준이 거리에서 벌인 <로봇 오페라>와 자신의 실험 텔레비전으로 화면 조작 시연을 하는 모습 등이 나온다.

백남준_슈베르트_2001 이미지
백남준, <슈베르트>, 2001, ⓒNam June Paik Estate
8. 백남준, <비디오 샹들리에 1번>, 1989
1채널 비디오 설치, TV, 색전구, 흑백, 무성, 가변크기

백남준이 처음으로 만든 샹들리에 형태의 설치작품으로, 38개의 흑백 TV 모니터가 다양한 색깔의 장식용 전구들과 전기선들과 함께 천장에서 늘어져 매달려 있다. 다른 비디오 샹들리에에 비해 단순한 형태로 되어 있고, 흑백 모니터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TV 모니터에서는 추상적인 패턴들이 움직이는 화면이 나오고 있어서 이 작품에서 TV는 제목처럼 일상의 공간을 밝히는 조명으로 기능하는 동시에, 끊임없이 정보를 전달한다. 백남준이 달이나 촛불 같은 자연물이나 전통적인 소통의 매개체를 TV와 연결시켰던 것과 마찬가지 맥락에서 읽을 수 있는 작품으로, 백남준이 강조하듯 TV가 기본적인 환경이 된 시대를 생각해보게 한다.

백남준_비디오 샹들리에 1번_1989 이미지
백남준, <비디오 샹들리에 1번>, 1989, ⓒNam June Paik Estate
9. 백남준, <퐁텐블로>, 1988
2채널 비디오 조각, TV, 액자, 컬러, 무성, 230x190cm

화려하고 고풍스러운 금색 도장을 한 나무 액자 안에 20대의 컬러 모니터가 배치되어 있고, 2채널의 TV 모니터에서는 빠른 속도로 변하는 화려한 추상적 이미지들이 끊임없이 등장한다. “퐁텐블로”라는 제목은 프랑스의 퐁텐블로 성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이는데, 이 성은 나폴레옹을 비롯한 프랑스의 군주들이 머물렀던 화려한 거처로, 그림을 나란히 걸어놓는 공간인 ‘갤러리’의 원형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프랑스와 1세 갤러리는 백남준의 이 작품처럼 벽에 걸린 회화 작품들이 화려한 금색 장식에 둘러싸여 있다. “콜라주 기법이 유화를 대신했듯이, 음극선관이 캔버스를 대신할 것이다”라는 백남준의 생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백남준_퐁텐블로_1988 이미지
백남준, <퐁텐블로>, 1988, ⓒNam June Paik Estate
10. 백남준, <최초의 휴대용 TV>, 1973
나무 및 금속 주방기구, 32×7.5x2cm

주방기구의 일종으로 보이는 작고 낡은 나무판 위에 TV 화면 모양으로 그림을 그리고 “최초의 휴대용 TV”라고 제목을 붙인 백남준 특유의 재치가 엿보이는 작품이다. 나무판 위에는 물결 모양의 요철이 있는 금속판이 덧대어 있어 TV의 주사선을 연상시키고, 양쪽에 손잡이가 달려있어 휴대용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백남준이 일상이 된 TV를 강조하기 위해 달, 촛불, 샹들리에 등 전통적인 빛의 이미지들과 연결시켰던 것과는 달리, 이 작품은 광원은 없이 모양만 유사하기 때문에 백남준의 가벼운 익살 정도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새로운 시각 매체가 등장할 때마다 그 프레임의 크기에 맞추어 수많은 정보들이 생산되고 재구성되며 또 그에 따라 일상이 크게 변화하는 오늘날, 흔한 물건에서 TV의 프레임을 읽어내는 백남준의 시선에서는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미디어 환경에 대한 통찰을 읽을 수 있다.

백남준_최초의 휴대용 TV_1973 이미지
백남준, <최초의 휴대용 TV>, 1973, ⓒNam June Paik Estate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백남준전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