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트릭스터가 세상을 만든다
기간/ 2010.08.31(화) 10:00 ~ 2010.11.21(일) 17:00
장소/ 백남준아트센터 1층 및 2층

<트릭스터가 세계를 만든다>전은 현대에서 여전히 작동되고 있는 트릭스터 신화로서의 백남준을 보여주는 전시이다. 백남준 아트센터의 1층과 2층 공간을 완전히 새롭게 개편하여 1층에서는 백남준이, 2층에서는 조지 마키우나스와 레이 존슨을 포함한 열두 명의 현대 작가들이 트릭스터로서의 그들의 면모를 드러내게 된다.

트릭스터는 전 세계에 걸친 보편적 성격의 신화적 존재로서, 대표적으로 프로메테우스와 헤르메스를 꼽을 수 있다. 이 밖에 북미 신화의 코요테나 손오공도 널리 알려진 트릭스터다. 트릭스터의 특징은 ‘트릭’을 쓴다는 점이다. 트릭은 가벼운 장난 내지는 주어진 장의 규칙을 위반하는 속임수다. 트릭스터는 배고픔에 시달리는 떠돌이 방랑자지만 이런 트릭을 통해 인간의 고충을 덜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트릭스터의 속성으로 각각 다른 세계의 소통과 경계를 넘나드는 월경越境을 통한 새로운 세계의 창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르메스는 태어나자마자 아폴로를 속여 소를 훔치기도 했지만 각종 도량형을 만든 상업의 신이자 신들의 메신저이기도 하다. 트릭스터의 또 다른 속성은 존재 자체가 이중적double이라는 점이다. 트릭스터는 선과 악, 남성이자 여성, 규칙의 위반자이자 법제정자, 신이자 인간이다.

백남준은 가장 유쾌한 헤르메스이자 트릭스터다. 초기부터 그는 음악과 미술과 테크놀로지를 넘나들었으며, 초기 퍼포먼스를 비롯하여 그의 작품 전반에는 선문답과도 같은 트릭이 넘쳐났다. 백남준은 실험TV 전시회의 후주곡(1963년에 전시되었던 <음악 전람회 – 전자 텔레비전> 에 대한 논평)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나의 실험 TV는 ‘완전범죄’를 가능하게 한 최초의 예술(?) 형식이다……………….. 나는 단지 다이오드를 반대방향으로 바꿔 끼워 넣어서 “파동치는” 네거티브 이미지의 TV를 얻었다. 나의 아류들(epigones)이 똑같은 트릭을 쓴다면, 결과는 완벽하게 똑같을 것이다…………이것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의미한다………….
나의 TV는 내 개성의 표현이 아니라, 단지 “물리적 음악”일 뿐이라는 것을.

전시내용
작가 및 작품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기획전시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