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뉴 게임플레이》 프로젝트 전시
‘《뉴 게임플레이》 프로젝트’는 예술과 교육에 관심이 있는 작가, 비평가, 게임 개발자, 교육자가 모여 기획전 《뉴 게임플레이》를 중심으로 예술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실행해보고자 시작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참가자들의 대화와 협업, 그리고 나눔의 과정을 작품, 워크숍, 자료집 등 다양한 형태로 공유하고자 합니다.
진행기간
2017.01.10(화) ~ 2017.02.19(일)
장소
백남준아트센터 1층 로비 플랫폼 & 2층 전시장
참여작가
김성원, 김재현, 문해주, 박원호, 박지혜, 신남전기(남상철, 신규빈), 오영진, 이현주
입장료
전시티켓 소지자 무료
프로젝트 참여 작가 노트
기억산책로드맵(출력용)
김성원, 김재현, 문해주 <기억산책: 공간과의 대화> 예술교육프로젝트 전시
<기억산책: 공간과의 대화>는 예술가와 참여자가 함께 ‘백남준아트센터’라는 공간을 ‘산책’하며 기존의 일상적인 공간을 새롭게 바라보고 몸의 움직임을 통해 ‘기억’해보는 퍼포먼스게임-예술교육프로젝트이다. 2회에 걸쳐 진행 된 예술교육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아카이브 작품영상 및 참여형 프로그램을 전시한다. ‘《뉴 게임플레이》 프로젝트’에서 다뤄진 게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시점으로 프로젝트를 통해 결성된 3명의 예술가 그룹(김성원, 김재현, 문해주)은 ‘산책’ 속의 일상적인 움직임으로 해프닝(happening)과 미션(mission)을 참여자에게 부여하여 놀이적 형태로 예술교육을 게임화하였다. 참여자는 ‘산책’을 하면서 공간 속에서 ‘보고’, ‘듣고’, ‘움직인’ 기억 속 다양한 이미지들을 로드맵을 통하여 그려보고, 이를 다시 몸으로 표현해봄으로써 몸의 기억을 통한 공간과의 대화를 시도해본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과정은 게임(game)에 대한 또 다른 해석으로 연장된다.

기획·강의: 김성원, 김재현, 문해주
영상편집: 김재현
3_img_1
박지혜, <BYTE : Adventure in Digital World>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더 삶 속으로 깊게 침투해오는 디지털 기술, 그런 파급력에 비해 일반 대중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해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디지털 기기의 사용방법이라는 뜻의 ‘인터페이스’는 디지털과 인간관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본 프로젝트 ‘BYTE : Adventure in Digital World’는 기존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해 다시 성찰해보는 게임입니다. 늘 당연하게 생각해왔던 빠르고 직관적이며 쉽게 이용할 수 있었던 디지털 기기의 사용방식들을 뒤집어보고, 색다른 인터페이스를 체험하는 과정 안에서 자연스럽게 디지털 기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본 게임은 설치형 게임의 모습으로 미술관 안에 전시됩니다. 미술관 안으로 들어온 게임은 게임이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선입견들을 모두 벗어내고 예술품으로 여겨질 수 있을까요? 게임과 예술품이 갖는 공통점은 작품 앞에서 깊게 생각해보거나 직접 플레이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미술관 안에 게임이 들어온다고 해서 게임은 다른 존재가 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관객 스스로 플레이어가 되고자 하는 의지와 선택입니다. 플레이어가 되는 순간 게임은 미술작품이 그러하듯이 관객과의 의미를 만들어 낼 것입니다.
3_img_4
신남전기, <Indeterminate>
토론에 빗대어. 누군가가 말하면 누군가는 듣는다. 하지만 A가 온전히 A로 향하지 않는 것처럼 내용은 왜곡되기 십상이고 다르게 전달된다. 이 모든 과정이 한 발짝 안에서 보면 싸우는듯(argue)보이지만 또 한 발짝 뒤에서 보면 정숙한 토론(debate)이 된다. ‘우리는 빛의 굴절을 통해 만들어지는 새로운 색상 속에서 혼돈 속의 조화를 찾을 것이다.
오영진 + 이현주, 윤주혜 <멜랑콜리 신서사이저>
세상의 모든 소리가 멜랑콜리하게 들릴 때가 있다. 일상의 소음과 TV 속 뉴스마저도 마음을 흔들고, 자신이 한없이 아무것도 아닌 듯 느껴진다. 더구나 2016년 한 해, 우리들은 정치의 우울과 내면의 불안 때문에 힘들지 않았던가. 우울한 마음을 연주할 수 있는 악기를 상상했다. 커다란 상자 속에 배치된 스마트기기들은 소리왜곡과 우울한 조성의 음악을 발생시킨다. 참여자는 자신이 만드는 휘파람, 한숨, 마찰음이 멜랑콜리한 음악처럼 연주되는 경험을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멜랑콜리 신서사이저>는 당신의 우울함을 상자 안으로 훔쳐갈 것이다. 촬영된 영상은 멜랑콜리 신서사이저로 연주한 곡 <무한히 정치적인 우울함>이다. 권명아의 저서 『무한히 정치적인 외로움』에서 제목을 차용해 왔다.
* 데모 <무한히 정치적인 우울함>, 연주&노래: 오영진, 촬영: 이현주, 편집: 윤주혜
오영진, 박원호 + 윤주혜 <A.I. 부처>
게이머에게 가장 치명적인 상황은 스스로 게임을 하고 있다는 것을 자각해버리고 마는 것이다. 완벽한 플레이를 추구하는 것은 선(禪)의 경지와 같다. 현실의 나를 잊고 게임 속에서의 나를 완성해나갈 때, 혹시라도 마음의 동요가 생긴다면 플레이는 실패하고 게임이라는 명상에서 빠져나온다. 게임 「테트리스」 플레이에 인공지능을 부여해 보았다. 그러자 끊임없이 떨어지는 블록을 빠르고 완벽하게 맞춘다. 단 한순간도 망설이지 않는 인공지능. 그 자체로 이미 깨달음을 얻은 부처와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위에서 아래로 내리꽂는 행위는 상징적으로 깨달음과 연관이 있다고 한다. 문학작품에 눈, 비, 폭포의 비유가 많은 이유다. <A.I. 부처>는 번뇌에 빠진 모든 게이머들이 구원을 받을 때까지 완벽한 플레이를 멈추지 않을 것이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이벤트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