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Nam June Paik Media ‘n’ Mediea
기간/ 2019.02.16(토) ~ 2020.03.01(일)
장소/ 백남준아트센터 제 1전시실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 전시 개요
전 시 명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Nam June Paik Media ‘n’ Mediea》
전시기간
2019. 2. 16(토) ~ 2020. 2. 20(목)
전시장소
백남준아트센터 제 1전시실
기 획
이채영(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
참여작가
백남준 / 총 16점
주최 및 주관
백남준아트센터, 경기문화재단
■ 전시 소개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Nam June Paik Media ‘n’ Mediea
백남준아트센터(관장 서진석)는 2019년 2월 16일부터 2020년 2월 20일까지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를 개최한다.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는 비디오 아트의 존재론을 설파하면서 만들어낸 백남준 식 조어 ‘비디오, 비데아, 그리고 비디올로지’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전은 동시대 사회를 예민하게 포착했을 뿐 아니라 테크놀로지에 대한 예술적 개입으로 새로운 미래를 그렸던, 그렇기에 여전히 동시대적인 예술 “백남준 미디어”가 던지는 메시지를 탐구한다. 이를 통해 비디오로 새로운 예술의 지평을 연, 백남준의 미디어 실험이 도달하고자 했던 예술적 지향점을 전시하고자 한다.

“마샬 매클루언이 했던 말처럼, 우리는 변화하는 사회의 안테나이다. 하지만 안테나에서 그치지 않는다. 〔…〕 내가 하는 일은 제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지켜보면서 그 안에 손가락을 비집고 집어넣어 벽을 무너뜨릴 수 있는 작은 구멍을 찾는 것이다.” (백남준) Calvin Thomkins, “Video Visionary”, New Yorker, May 5, 1975, p. 79.

백남준아트센터의 주요 소장품으로 채워지는 이번 전시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세계 모든 나라가 서로 케이블 TV로 연결될 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을 미리 예견한 일종의 상상적인 비디오 경관(백남준)”인 백남준의 작업 <글로벌 그루브>(1973)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WGBH 방송국을 통해 방송되었던 <글로벌 그루브>에는 위성 방송 시스템, 인터넷 소통방식 이전에 비디오가 서로의 문화에 대한 쌍방향의 이해를 매개하는 매체가 될 수 있음을 예견한 그의 사유가 담겨 있다. 전 세계의 다양한 춤과 노래가 콜라주 되는 이 작품은 “비디오 공동시장”을 통해 전파되는 미래, 마치 오늘날의 유튜브를 예견한 듯한 그의 비전이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적 차원의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서로 연대하는 투명한 사회, 다시 말해 전쟁 없는 사회이다. 즉, 지구촌을 향한 꿈이다” 라는 비평가 이르멜린 리비어의 말처럼, 두 번의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을 비롯한 냉전의 긴장감이 감돌던 20세기 후반의 정치사회적 상황 안에서 예술가 백남준은 미디어를 통한 ‘소통’으로 ‘세계평화’를 이루어 낼 미래의 광경을 형상화 한다.

전시는 ‘지구인’ 백남준이 전자 미디어로 그리는 거대한 비전과 조응하는 여러 단계의 텔레비전 실험과 예술적 탐구를 선보인다. 전시장에 들어서자마자 보이는 <닉슨 TV>는 텔레비전을 쌍방향의 소통수단으로 이해하고 실험한 백남준의 미디어 분석을 보여준다. 텔레비전에 전류를 흐르게 해 이미지를 왜곡시키는 이 작업으로 인해 닉슨의 얼굴은 일그러지고 희화화된다. 다음으로는 1968년의 전시 《전자 예술Ⅱ》 기록 영상 속의 <케이지드 매클루언> 비디오를 볼 수 있다. 미디어 이론가 마샬 매클루언의 얼굴을 변주한 이 영상은 『미디어의 이해』라는 책으로 미디어에 대한 탁월한 분석을 한 이론가 매클루언과 백남준의 상보 관계를 상상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 동시에 “미디어가 메시지”라는 매클루언의 개념과 연계하여 텔레비전을 일 방향의 매체가 아닌 작가의 개입으로 변주될 수 있는 쌍방향의 가능성을 찾은 백남준 미디어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백남준이 꿈꿨던 “미래의 비디오 풍경”을 상상하며 구성한 전시장 메인 홀은 거대한 거실 공간처럼 연출되었다. 이 공간에 놓인 대형의자에 앉으면 왼쪽으로는 음극선관이 유화를 대신해 만들어진 미디어 회화 <퐁텐블로>를, 양쪽으로는 실체가 없는 비선형적인 시간을 시각화하는 <스위스 시계>와 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정면에는 <글로벌 그루브>가 멀티비전에 상영되고 있고 양 옆으로 <찰리 채플린>과 <밥 호프>가 포진해 있다. 또한 구석의 방으로 들어가면 인류의 문명을 밝힌 최초의 미디어인 ‘빛’을 담고 있는 이 보인다. 마치 생활용 A.I. 와 접속 가능한 스크린으로 둘러싸인 현대 일상의 공간을 연상하게 하는 이 공간에서 우리는 빛, 필름, 전기, 라디오, 전파, 텔레비전 등의 미디어가 어떤 방식으로 우리 삶의 풍경을 바꿔왔는지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시장의 마지막에 놓인 백남준의 최초의 위성 실험 비디오 <도큐멘타 6 위성 텔레캐스트>와 <징기스칸의 복권>을 통해 전자 고속도로를 통한 세계적인 소통, 쌍방향의 소통이 가져올 ‘미래적인 풍경’에 대한 백남준의 비전을 엿볼 수 있다. 그 어느 때보다 기술 매체가 우리 삶의 지형과 일상을 바꾸고 있는 이 시대에 다시금 미디어가 현재와 미래의 삶에 어떠한 메시지를 던지는지를 ‘미디어 비저너리’ 백남준의 사유를 통해 돌아보는 전시가 되길 기대해본다.
■ 작품 소개
1. ‹TV 정원›, 1974/2002, TVs, 살아있는 식물, 앰프, 스피커, 1채널 비디오, 컬러, 유성, 28분 30초, 가변크기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우거진 수풀 속에 텔레비전들이 꽃송이처럼 피어있는 정원이다. 화면에 나오는 것은 ‹글로벌 그루브›라는 비디오 작품으로 세계 각국, 다양한 분야의 음악과 춤이 백남준 특유의 편집으로 흥겹고 현란하게 이어진다.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종합하는 연속적인 줄거리 없이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보기를 권유하는 영상이다. 이 정원에서 TV 모니터들은 낯선 각도의 배치로 그 존재감을 드러낸다. 관람자는 화면이 하늘을 향하거나 옆으로 비스듬히 누워있는 텔레비전을 내려다보게 되며, 하나의 텔레비전 수상기만을 보기보다는 주변의 여러 대를 동시에 바라보게 된다. 미술관이라는 실내에 인공적으로 조성, 유지되는 자연 환경과, 자연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테크놀로지를 대변하는 텔레비전이 하나의 유기체적 공간을 이루고 있다. 나뭇잎을 타고 흐르는 텔레비전의 전자적 영상이 다양한 리듬 속에서 생태계의 일부가 됨으로써 백남준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픽셀의 자극과 자연이 내뿜는 초록빛이 함께 어우러지도록 했다.
2. ‹닉슨 TV›, 1965/2002, TV 모니터 2대, 코일, 신호발생기, 앰프, 콘덴서, 타이머, 1채널 비디오, 컬러, 무성, 가변크기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닉슨 TV›는 백남준의 초기 실험 텔레비전 중 하나로, 신호발생기를 통해 만들어진 신호를 앰프를 통해 증폭시킨 다음 모니터 위에 설치된 코일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 전류는 스위치를 통해 두 개의 모니터에 번갈아 가며 흐르게 되는데, 이때 흐르는 전류가 TV 브라운관의 전자 빔을 왜곡 시켜 화면에 등장하는 닉슨 대통령의 얼굴을 일그러뜨려 희화화된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닉슨은 1960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후보와의 텔레비전 토론회에서 미디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낙선하였는데, 백남준은 미디어의 영향력에 주목하여 이 작품을 만들었다.
3. 보니노 갤러리에서 열린 «전자 예술 II», 1968, 3분 34초
백남준은 1965년부터 보니노 갤러리에서 «전자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4회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이 전시들을 통해 백남준은 방송국에서 송출한 싱글 채널 비디오와 다른 맥락의 비디오 미학을 소개한다. 이 영상은 실험 TV 들과 다양한 비디오 조각을 선보인 1968년 «전자 예술»을 스케치한 영상이다. 이 상 속에는 ‹닉슨 TV›와 같은 매커니즘으로 작업한 ‹케이지 드 매클루언›이라는 작품이 보인다. 미디어 이론가 마샬 매클루언의 얼굴을 변주한 이 영상은 『미디어의 이해』라는 책으로 미디어에 대한 탁월한 분석을 한 이론가 매클루언과 백남준의 상보 관계를 상상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 동시에 “미디어가 메시지”라는 매클루언의 개념과 연계하여 텔레비전을 일 방향의 매체가 아니라 작가의 개입으로 변주될 수 있는 쌍방향의 가능성을 찾은 백남준 미디어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4. ‹TV 시계›, 1963–1977/1991, 24대의 조작된 TV, 가변크기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백남준의 초기 텔레비전 설치 작품 중 하나로서 총 24대의 모니터로 구성되어 있다. 24대의 모니터는 하루 24시간을 상징하며 각각의 모니터는 다른 기울기의 선을 보여주며 시간을 표현하고 있다. 이는 텔레비전 진공관의 수직 유도장치를 제거함으로써 가능해진 것으로 전자광의 광선 한 줄로 응축된 이미지는 시간을 시각화한다. 24대의 컬러 모니터로 구성된 이 작품은 보는 이로 하여금 전체적으로 하루의 시간이 흘러가는 느낌을 고요한 명상과도 같은 분위기로 전달하고 있다.
5. ‹찰리 채플린›, 2001, CRT TV 4대, LCD 모니터 1대, 라디오 케이스 4대, 전구 2개, 1채널 비디오, 컬러, 무성,
185 x 152 x 56 cm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희극배우이자 영화감독인 찰리 채플린은 ‹황금광 시대›, ‹모던 타임즈›, ‹위대한 독재자› 등의 영화를 통하여 물질만능주의 시대에 인간성의 회복이라는 주제를 꾸준히 언급해 왔다. 특히 그의 대표작인 ‹모던 타임즈›는 기계문명과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상실해 가고 있는 인간성에 대해 특유의 서정적이고 유쾌한 감각으로 비판한 작품이다. 백남준 역시 인간화된 기술, 기술과 인간의 조화라는 주제에 큰 관심을 기울였던 만큼 그의 비디오 조각 로봇으로 형상화된 채플린은 매우 자연스러운 조우라 고 할 수 있다. 빈티지 모니터, 구형 텔레비전과 라디오로 몸체가 이루어 졌으며 채플린 영화에 등장하는 가스등을 연상시키는 구형 전구가 양 손 의 역할을 하는 이 로봇은 흑백영화 시대에 대한 향수를 전달하는 듯 고풍스럽다. 5대의 모니터에서 나오는 영상은 채플린의 영화 속 장면들이 편집되어 있다.
6. ‹글로벌 그루브›, 1973, 1채널 비디오, 컬러, 유성, 29분 39초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뉴욕 방송국 WNET과의 협력으로 제작해 1974년 1월 30일에 첫 전파를 탄 이 작품은 ‘전 지구적 흥겨움’이라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여러 문화권의 춤과 음악을 연달아 이어붙인 백남준의 대표적인 비디오 작품이다. “지구상의 어떤 TV 채널도 쉽게 돌려볼 수 있고 TV 가이드북은 맨해튼의 전화번호부만큼 두꺼워질, 미래의 비디오 풍경이다“라는 소개로 시작하는 이 비디오에서는 로큰롤과 나바호족 인디언 여성의 북소리가 댓구를 이루고, 한국의 부채춤이 탭댄스 리듬과 부딪힌다. 또한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와 슈톡하우젠의 전자음악이 이어지면서 문화적으로 대립된 요소들이 동등한 지위를 획득하며 상호 공존한다. 백남준은 이처럼 이질적이고 대립적인 요소들을 이어 붙임으로써 향후 우리 앞에 전개될 텔레비전을 통한 세계화를 전망하며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복잡한 문화의 지형을 만들어내고자 했다.
7. ‹밥 호프›, 2001, CRT TV 2대, LCD 모니터 3대, 라디오 및 진공관 TV 케이스, 1채널 비디오, 컬러, 무성,
141 x 116 x 33 cm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밥 호프는 코미디언이자 배우, 가수, 댄서, 작가로 많은 인기를 누리며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 연극 등 여러 분야에서 전방위로 활동하였다. 백남준은 호프를 비롯해 험프리 보가트, 데이비드 보위, 로렌 바콜, 마릴린 먼로 같은 유명 대중 예술인들을 소재로 다양한 작품을 만들었는데 이는 1970년대부터 대중 매체의 파급효과, 미디어의 이미지 소비, 고급 예술과 대중 예술의 경계 등의 문제에 백남준이 관심을 가졌던 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1984년 뉴욕의 아티스트 단체인 ‘케이블 소호’에서 제작한 한 방송프로그램에서 호프는 기자회견장에 잠입한 아티스트 제이미 다비도비치로부터 비디오 아트와 백남준에 대해 기습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당시 호프는 비디오 아트가 무엇 인지, 백남준이 누구인지도 몰랐지만 실험적인 예술가들에 의해 전개될 미래의 텔레비전에 대해 기대를 표현하며 그 미래의 일부가 되고 싶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화답이라도 하듯 백남준의 ‹밥 호프›는 미국 방송 문화의 상징이었던 호프를 로봇으로 만들어 그의 과거이자 미래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8. ‹스위스 시계›, 1988, 폐쇄 회로 카메라, 괘종시계, TV 모니터 3대, 삼각대, 가변크기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폐쇄 회로 카메라가 벽걸이 괘종시계 추의 움직임을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각각 다른 방향으로 놓인 텔레비전 화면에서는 동일한 시계추의 움직임이 다른 각도로 비춰지게 된다. 폐쇄 회로와 텔레비전이라는 장치 안에서 이미지와 실체의 순환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시계의 동작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여줌으로써 시간의 흐름이라는 추상적인 대상의 의미를 시각적으로 구체화하는 것이기도 하다. ‘비선형적인 시간’이라는 개념에 대한 백남준의 관심이 표현된 작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9. ‹퐁텐블로›, 1988, 퀘이사 컬러 모니터 20대, 금속 그리드, 금색도장 나무 액자, 2채널 비디오, 컬러, 무성,
195 x 235 x 4 cm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화려하고 고풍스러운 금색 도장을 한 나무 액자 안에 20대의 컬러 모니터가 배치되어 있고, 2채널의 TV모니터에서는 빠른 속도로 변하는 추상적 이미지들이 끊임없이 등장한다. “퐁텐블로”라는 제목은 프랑스의 퐁텐블로 성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이는데, 이 성은 나폴레옹을 비롯한 프랑스의 군주들이 머물던 화려한 거처로, 그림을 나란히 걸어놓는 공간인 갤러리의 원형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프랑스와 1세의 갤러리는 백남준의 이 작품처럼 벽에 걸린 회화 작품들이 화려한 금색 장식에 둘러싸여 있다. “콜라주 기법이 유화를 대신했듯이, 음극선관이 캔버스를 대신 할 것이다”라는 백남준의 생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10. ‹필름을 위한 선›, 1964, 16mm 영사기, 필름
빈 필름이 영사기에서 돌아가는 이 작업에서 영사기의 밝은 빛이 필름을 비추면 필름 표면의 먼지와 스크래치가 화면에 투사된다. ‹필름을 위한 선›은 아무것도 촬영되지 않은 필름이라는 미디어 자체가 상영됨으로써 비결정적이고 우연적인 상황이 연출된다. 이 작품은 아무 것도 연주하지 않음으로써 소음과 정적을 음악에 포함시켰던 존 케이지의 ‹4분 33초›(1952)에 대한 백남준의 해석이라 여겨진다.
11. 피터 무어, <뉴욕의 필름메이커 시네마테크에서 열린 «뉴시네마 페스티벌 I»에 출품 된 백남준의 ‹필름을 위한 선›>, 1964, 흑백 사진, 40 x 59.5 cm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백남준은 1964년 영화제작자 시네마테크에서 열린 «뉴 시네마 페스티벌 I»에서 직접 필름이 돌아가는 영사기 앞에 서서 퍼포먼스를 했고 이 때의 모습을 피터 무어가 사진으로 남겼다. 같은 제목의 설치 작품은 빛에 노출되지 않은 빈 필름이 영사기에서 무한 루프로 돌아가는 영상으로, 영사기의 빛이 낡은 필름을 통과하면 스크린에 스크래치와 먼지 입자들이 화면에 등장하는 작품이다. 따라서 사람이 화면 앞에 서면 자신의 형태와 움직임에 따라 작품의 내용을 새롭게 구성하게 된다.
12. ‹나는 이 곡을 1954년 도쿄에서 썼다›, 1994, 앤틱 TV 케이스, 10인치 CRT 컬러 TV, 미니 폐쇄 회로 카메라, 백열전구, 루즈 144 음표 뮤직 박스, 49 x 48 x 47 cm
‹나는 이 곡을 1954년 도쿄에서 썼다›는 작가가 대학교 새내기 시절 작곡한 곡을 바탕으로 한다. 144개의 음표로 구성한 하나의 악장으로 된 곡이다. 이 곡을 1994년 작품에 반영한 것인데 18세기에 제작한 앤틱 음악 장치로 재생하였다. 그리고 그 악장을 다시 1950년대에 생산한 텔레비전의 화면에 나타나게 했다. 스크린 위에 나타난 몽롱한 이미지는 회전하는 뮤직 박스의 기계장치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는 실제 기계 장치가 아니라 텔레비전 내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포착되어 투사한 이미지이다. 백남준은 현대적인 전자적 이미지를 오래되었지만 친근한 텔레비전, 뮤직 박스와 결합하고, 이를 통해 초현실주의, 시, 그리고 다소간의 과장이 뒤섞인 대상을 창조했다. 과거와 현재, 백남준이 작품으로 보여주고자 했던 미래를 하나의 모니터 속에 보여준다.
13. ‹촛불 TV›, 1975/1999, 초, TV 케이스, 34 x 36 x 41 cm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구형 TV 케이스 안에 초 하나가 불을 밝히고 있다. 빛은 인류 문명의 시작을 상징하고, 백남준은 ‘광원은 정보와 같다’고 하였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텔레비전을 새로운 문명의 시작으로 간주하여 설명하고 있다.
14. ‹징기스칸의 복권›, 1993, TV 모니터, TV 케이스 10대, 네온관, 자전거, 잠수 헬멧, 주유기, 플라스틱관, 천,
1채널 비디오, 컬러, 무성, 217 x 110 x 211 cm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동양과 서양을 잇는 실크로드가 광대역 전자 고속도로로 대체된 것을 형상화한 작품으로 1993년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에 전시되었다. 20세기의 징기스칸은 말 대신 자전거를 타고 있으며, 잠수 헬멧으로 무장한 투구와 철제 주유기로 된 몸체, 플라스틱 관으로 구성된 팔을 가지고 있다. 자전거 뒤에는 텔레비전 케이스를 가득 싣고 있으며, 네온으로 만든 기호와 문자들이 텔레비전 속을 채우고 있다. 네온 기호들은 전자고속도로를 통해 복잡한 정보들이 축약되어 전달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텔레비전 영상에서는 병에서 피라미드로, 도기에서 주전자로 변형되는 여러 가지 마스킹 기법이 쓰이고 있으며 추상적인 기하학 패턴이 지속적으로 교체된다. 백남준은 ‹마르코 폴로›, ‹징기스칸의 복권›, ‹스키타이 왕 단군›, ‹알렉산더 대왕› 등의 로봇을 통해, 교통, 이동수단을 통해 권력을 쟁취하거나 지배하던 과거에서, 광대역 통신을 이용한 소프트웨어의 발전을 통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미래가 올 것을 강조 한다.
15. ‹고속도로로 가는 열쇠(로제타 스톤)›, 1995, 음각 동판, 86 x 71 cm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백남준이 주창한 ‘전자 초고속도로’의 개념을 작가 자신에게 적용하여 만든 작품으로 나폴레옹 군대가 이집트 원정 당시 로제타 마을에서 발굴한 로제타석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로제타석은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기원전 305년부터 기원전 30년까지 여러 차례 발표 했던 법령을 고대 이집트 상형문자, 고대 이집트 민중문자, 고대 그리스 문자 등 세 가지 언어로 새겨 놓은 돌이다. 이 작품의 상단부에는 비디오 드로잉이, 중간 부분에는 각국의 언어로 기술된 백남준의 예술 이력이, 하단부에는 백남준의 비디오 영상에서 발췌한 클립 이미지가 있다. 가운데 부분에서는 백남준이 음악에서 비디오 아트로 관심을 돌리게 된 계기와 어떻게 플럭서스 예술운동에 동참했는지, 그리고 자신과 영향을 주고받았던 예술가들과의 관계에 대해 한국어, 영어, 불어, 독일어, 일어로 기술하고 있는데 백남준 예술의 발전단계와 흐름을 축약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16. 요셉 보이스 & 더글라스 데이비스 & 백남준, ‹도큐멘타 6 위성 텔레캐스트›, 1977, 컬러, 유성, 29분 11초
5년에 한 번씩 독일 카셀에서 열리는 «카셀 도큐멘타»는 매우 중요한 현대미술 전시이다. 1977년에 열렸던 «카셀 도큐멘타 6» 에서는 세계 최초로 위성 통신망을 이용해서 예술가들의 퍼포먼스를 라이브로 송신하였다. 백남준과 요셉 보이스, 더글라스 데이비스가 참여한 이 프로젝트는 25개 국가에 전송되었다. 백남준은 샬럿 무어먼과 «카셀 도큐멘타» 현장에서 ‹TV 브라›, ‹TV 첼로›, ‹TV 부처›, ‹TV 침대› 등의 작업을 선보이면서 음악과 퍼포먼스, 비디오 조각, 텔레비전이 혼합된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중간 중간 백남준은 이 방송이 위성으로 연결되어 서로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한다. 같은 장소에서 요셉 보이스는 그의 개념 예술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적 조각”이라는 유토피아주의 이론을 대중들에게 설파한다. 한편 더글라스 데이비스는 베네주엘라의 카라카스에서 ‹마지막 9분›을 연기한다. 자신과 관객 사이에 놓여있는 텔레비전 스크린을 두드리면서 관객과의 시간/공간의 거리감을 표현한다.
17. ‹TV 물고기(비디오 물고기)›, 1975/1997, 24대의 TV, 24개의 어항, 물고기, 3채널 비디오, 컬러, 무성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2019 백남준展 《백남준 미디어 ‘n’ 미데아》
일렬로 늘어선 24개의 어항 뒤에 24대의 모니터가 놓여 있다. 어항 안에서는 살아 있는 물고기들이 유영하고 있으며, 화면에는 춤을 추고 있는 머스 커닝햄, 바다 속을 헤엄치는 물고기, 그리고 하늘을 나는 비행기의 모습이 등장한다. 어항과 텔레비전 화면의 중첩을 통해 실제로 살아있는 물고기와 비디오 속 물고기는 하나의 시공간으로 합쳐진다. 또한 머스 커닝햄은 물고기와 함께 춤을 추고, 물고기는 하늘을 헤엄치며, 비행기는 바다 속을 날아다니는 형국이 된다. 관람자는 어항이 모니터가 되고 모니터가 어항이 되는 시각적 현상 속에서 평소와는 다른 시선으로 텔레비전 화면을 바라보게 되고, 대상을 재단하여 보여주는 프레임으로서의 텔레비전을 인식하게 된다. 텔레비전의 프레임을 사이에 둔 재현과 실체의 관계를 다루면서 백남준은 자연의 요소를 자주 결합시켰다. 기술이 만들어내는 화면의 ‘생생함’과 현실 속 자연의 ‘살아있음’을 대비시키며 차이를 부각하기 보다는 기술과 자연의 공존과 상응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백남준전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